배터리·철강… 中이 보조금 쏟아 키운 산업들 줄줄이 공급 과잉

입력
수정2024.03.23. 오전 9:26
기사원문
강다은 기자
본문 요약봇
성별
말하기 속도

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제품 남아돌자 싼 가격에 수출… 글로벌 시장에 큰 혼란 일으켜

BYD의 전기차 생산 시설. /BYD 제공

중국 정부는 그간 자국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펼쳐왔다. 탄탄하고 큰 내수 시장과 정부에서 지급하는 막대한 보조금을 앞세워 중국 내에서 먼저 완전한 자급 체제를 구축한 뒤 수출을 확대해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방식이다. 이런 정책으로 싼값의 중국산 제품이 세계에 쏟아지며 시장을 교란하자 다른 나라에선 중국산에 대한 견제도 강화되고 있다.

일러스트=이철원

자국 우선주의로 육성된 가장 대표적 산업은 전기차와 전기차 배터리다. 중국 정부는 전기차를 국가 차원의 차세대 성장 동력인 ‘3대 신사업’ 가운데 하나로 낙점하고, 2009년부터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했다. 생산자에게 직접 돈을 줘 출고가를 낮추는 형식의 보조금을 중국 업체에만 편파적으로 지급하는 ‘불공정’ 행태를 통해 비야디(BYD), CATL 등 중국 업체들이 싼값을 앞세워 전 세계 시장을 장악했다. 중국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까지 중국이 전기차 업체에 쏟아부은 보조금 액수만 총 1600억위안(약 30조원)이고, 특히 업계 1위인 BYD는 70억위안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원받았다. 중국 기업들은 과잉 공급 속에서도 생산시설을 늘리고 있다. 이에 미국과 유럽연합(EU)에선 중국산 전기차 견제를 위한 규제를 늘리고 있다.

그래픽=이철원

석유화학산업도 마찬가지다. 중국은 2016년 국영 석유화학 기업 시노펙을 앞세워 동부 연안에 ‘7대 석유화학 기지’를 건설하며 단기간에 자급률을 끌어올렸다. 코로나 팬데믹 이후 업황이 안 좋았던 최근에도 석유화학공정을 국가 차원에서 증설·육성하며 자급률 향상에 힘쓰고 있다. 중국산 석유화학 제품이 전 세계에 풀리면서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한국 등 전통적인 석유화학 강국이 위축되고 있다.

중국 철강 산업 역시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한 정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와 맞물려 급성장했다. 제품을 대량으로 우선 생산해 가격을 낮춘 뒤 동남아 등에 내다 팔고, 과잉 생산으로 재고가 늘어나더라도 중국 내에서 선박용, 부동산용 등으로 대량 납품해 소진할 수 있다.

기자 프로필

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.
기사 섹션 분류 안내

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.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.

닫기
이 기사를 추천합니다
3